
이번에는 옛날 감성이 물씬 풍기는 레트로 거리를
광대역 3D 스캔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화하는 사례입니다!
이 거리는 1960~1980년대 한국의 분위기를 그대로 재현한 세트장으로,
오래된 간판과 건물, 거리 풍경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데요.
이번 3D 스캔 작업의 목표는 이 공간을 고해상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드라마, 영화등에서
현실적인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확한 형태와 텍스처를 보존하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This time, we will be digitizing a retro street full of old emotions
using wide-area 3D scanning technology!
This street is a set that recreates the atmosphere of Korea in the 1960s and 1980s,
and the old signs, buildings, and streetscapes are preserved as they are.
The goal of this 3D scanning project was to convert this space into high-resolution digital data,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alistic background in dramas, movies, etc., and to preserve the exact shape and texture.




이 거리는 드라마를 위해 감성이 강한 간판과 건축물, 거리 소품 등을 그대로 재현했습니다!
세트장 같은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훼손될 가능성이 높아,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스캔을 진행했답니다.
세트장을 디지털화할 경우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세트장을 단순히 형상만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벽의 질감, 오래된 간판의 색 바램,
거리 소품의 세밀한 디테일까지 생생하게 담아내는 것이 중요하겠죠?
This street was recreated with strong emotional signs, buildings, and street props for the drama!
In the case of se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over time, so we scanned them to preserve them as they were.
If you digitize a set, you can use it in various ways.
It is important to vividly capture not only the shape of the set,
but also the texture of the building walls, the faded color of the old signs,
and even the minute details of the street props, right?
광대역 3D 스캐너 활용 : Utilizing wideband 3D scanners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광대역 3D 스캐너를 사용해 넓은 공간을 한 번에 캡처하는 방식을 적용는데요.
정확한 거리 정보와 텍스처 데이터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거리 전체를 디지털화하는 데 적합했습니다.
건물 간판과 외벽이 시간에 따라 변색된 부분까지 스캔해 원본 그대로의 질감을 유지했고
스캔 범위가 넓은 만큼, 여러 지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한 후 통합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In this project, we used a wide-area 3D scanner to capture a wide space at once.
It was suitable for digitizing the entire street because
it could simultaneously obtain accurate distance information and texture data.
We scanned the building signs and
exterior walls to maintain the original texture even when they had changed color over time.
Since the scanning range was wide, we collected data from multiple points and then integrated and organized it.
포토그래메트리 기법 적용 : Applying photogrammetry techniques
보다 정밀한 디테일을 확보하기 위해 포토그래메트리 기법을 병행하여
고해상도 텍스처를 보정하는 과정도 진행되었습니다.
포토그래메트리는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3D 데이터와 결합해,
더욱 사실적인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인데요!
이를 통해 각 건물의 페인트가 벗겨진 흔적, 오래된 간판의 낡은 표면,
거리의 작은 소품들까지 최대한 자연스럽게 재현할 수 있었답니다.
In order to secure more precise details,
we also carried out a process of correcting high-resolution textures using the photogrammetry technique.
Photogrammetry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with 3D data,
and can implement more realistic texture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reproduce traces of peeling paint on each building, the worn surfaces of old signs,
and even small props on the street as naturally as possible.
소프트웨어(RC)샷 : Software (RC) shot



노이즈 제거 및 정밀 메시 수정 : Noise removal and precision mesh correction
광대역 3D 스캐너와 포토그래메트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는 매우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지만,
불필요한 노이즈도 포함될 수 있답니다.
따라서 스캔 데이터에서 잘못된 부분을 보정하고 정밀한 메시(Mesh)로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건물 간판이나 창문의 깊이감이 실제처럼 보이도록
3D 모델링 단계에서 세밀한 보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Data acquired through wideband 3D scanners and photogrammetry have very high resolution,
but can also contain unnecessary noise.
Therefore, we corrected incorrect parts in the scan data and organized it into a precise mesh.
Additional detailed corrections were performed during the 3D modeling stage so that the depth of the
building sign or window appears realistic.
텍스처 보정 및 UV 매핑 : Texture Correction and UV Mapping
스캔한 원본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고해상도 텍스처를 적용하여
실제로 보았을때와 비슷한 질감으로 보여지는 디테일 작업도 병행되었습니다.
특히 오래된 벽면의 크랙이나 낡은 포스터, 빛바랜 간판 글씨까지 세밀하게 나올 수 있도록 작업했습니다.
UV 매핑을 활용해 텍스처가 자연스럽게 적용되도록 정리하고,
색감 보정 작업을 통해 원본과 최대한 동일한 분위기를 구현하였습니다.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scanned original data, high-resolution textures were applied,
and detail work was also done to make it look similar to the actual texture.
In particular, cracks on old walls, old posters, and faded signboard letters were worked on to make them appear in detail.
Using UV mapping, textures were organized to be applied naturally,
and color correction work was done to implement an atmosphere that was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original.




이번에 디지털화된 레트로 거리는 드라마 말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요
먼저, 영화나 드라마 제작에서 가상 프로덕션 환경을 구축할 때 실사 배경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촬영 없이도 자연스러운 배경을 구현할 수 있어 제작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부분을 수정하거나 확장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두번째론 VR 및 AR 콘텐츠로도 응용할 수 있는데요.
사용자가 직접 거리를 탐험하고 간판을 살펴보는 등 인터랙티브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역사적 공간을 체험하는 교육용 콘텐츠나 가상 박물관 등의 용도로 적합합니다.
세번째는 게임 배경 디자인입니다.
레트로 감성을 살린 도시나 거리 풍경이 필요한 경우,
이번 3D 스캔 데이터를 적용하면 사실적인 환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세부적인 텍스처와 구조가 그대로 반영되어 게임의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겠죠?
마지막으로 온라인 전시 및 메타버스 공간에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3D 모델을 기반으로 가상공간에 구현하면 실제 거리처럼 걸어 다니며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이랍니다.
이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누구나 레트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문화 콘텐츠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This digitized retro stree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dramas.
First, it can be used as a real background when building a virtual production environment in movie or drama production.
Since it can implement a natural background without actual filming, it can save production costs and time,
and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or expand certain parts as needed.
Second, it can be applied as VR and AR content.
Since it can provide interactive experiences such as users exploring the street and examining the signboards,
it is suitable for educational content or virtual museums that allow users to experience historical spaces.
Third, it is a game background design.
If you need a city or streetscape with a retro feel,
you can implement a realistic environment by applying this 3D scan data.
In particular, since detailed textures and structures are reflected as they are,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immersion of the game.
Finally, it can be used in online exhibitions and metaverse spaces.
If implemented in a virtual space based on a 3D model, it is an environment where you can walk around and
experience it as if it were a real street.
Through this, new cultural content can be created that allows anyone to feel a retro sensibility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place.
드라마 촬영이 끝나면서 실제 세트장은 훼손되거나 철거되었겠지만,
이번 작업을 통해 디지털 공간에서 원형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광대역 3D 스캔을 통해 1960~1980년대 감성을 그대로 담은
레트로 거리의 디지털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정확한 형상뿐만 아니라, 시간의 흔적이 깃든 텍스처까지 사실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콘텐츠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 모델이 완성되었답니다.
이렇게 디테일 한 광대역 3D 스캔을 원하시면 레플리카로 연락주시면 됩니다!
The actual set may have been damaged or demolished after the drama filming ended,
but through this work, we were able to preserve it in its original form in a digital space.
Through this wide-area 3D scan, the digitization of the retro street,
which captures the sensibility of the 1960s and 1980s, was successfully completed~!
Not only the exact shape, but also the texture with traces of time was realistically implemented,
a high-quality model that can be used in various contents was completed.
If you want such a detailed wide-area 3D scan, please contact Replica!
WE "REPLICATE" THINGS THAT MATTER.
REPLICA (레플리카)는 사물, 인체, 공간, 건물 등 세상의 주요한 모든 실물 객체를
3D스캐닝하여 Digital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광대역3D스캐너 / 광학식3D스캐너 / 포토그라메트리 를 주 기술로 활용하여
VFX분야의 매치무브용 3D스캔 RAW데이터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공간, 세트장, 소품 및 인체 3D스캔 기술력을 보유하고
15년 이상의 기술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업계에서 가장 정밀하고 정확한 3D스캔 데이터를 납품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3D스캔 작업이 필요하시면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주식회사 레플리카 REPLICA ㅣ DIGITAL TWIN STUDIO
레플리카는 전신 포토스캔부스, 광학식 혹은 광대역 3D스캔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Digital Twin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www.re-plica.com
궁금하신점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실경우
이메일 문의 : ray@re-plica.com
홈페이지 문의나 카카오톡 상담
또는 02-6952-1613
여기로 편하게 문의주시면 됩니다^^